• 홈
  • 고객센터

고객센터

Service center.

아이가 자신의 하루를 계획하게 하자.

게시판 상세보기
작성일 2022-03-25 16:55:01 조회수 159
안녕하세요 심리상담센터 당신을듣다입니다.

오늘은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에 대한 내용을 준비해 왔습니다.



인용한 책은 『엄마의 말 공부』입니다 :)


평화로운 주말시간, 여러분의 아이들은 시간을 어떻게 보내시나요 ?

가족과 행복하게 소통하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 친구와 즐겁게 노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 책을 보는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
뭔가를 경험하고 터득하는 아이와 게임이나 TV로 시간을 보내는 등  다양한 활동으로 보낼텐데요.  ​이 시간이 모여 아이의 삶과 인생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부모의 도와주는 정도에 따라 아이의 삶이 풍요롭고 행복해진다.

주말과 방학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가에 따라 아이의 삶의 질은 참 많이 달라진다고 하는데요.

부모가 아이의 주말과 방학 시간을
질적으로 도와주는 정도에 따라 아이의 삶이 풍요롭고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아이를 위해서 무엇이든 해주고 싶은 것이 부모의 마음이겠죠. 그렇게  많은 부모님께서 소중한 우리 아이의 행복한 삶을 위해 좋은 것들을 해주려고 합니다.

하지만 마음만이 앞서다 보면 오히려 아이의 반감을 불러일으키고 갈등을 심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 아이를 위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의 의견에 무조건 따라가서도 안 되지만 아이의 마음을 무시해서도 안 됩니다. 아이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며 아이가 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엄마가 꼭 알아야 할 양육기술 중 하나가 아이의 하루를 계획하는 일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
아이가 자신의 하루를 계획하도록 도와주는 일"입니다. 

엄마가 계획해서 아이에게 시키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입니다. 

많은 경우 엄마의 역할을 헷갈려 하고 엄마가 주도적으로 계획해서 아이를 시켜야 한다고 착각하지만, 그게 아닙니다.


"빨리해", "숙제해", "일어나", "공부해"

위의 말처럼 지시하고 명령하는 언어를 사용한다면 어린 아이일수록 엄마의 말에 복종하는 것으로 보여도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은 전혀 다르고 오히려 부작용만 쌓인다고 합니다.

지금 당장 나타나지는 않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 부작용은 아이의 삶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이끌고,  
고학년이 되면서 문제가 나타나는 아이들 대부분이 부모의 명령과 지시, 강요에 찌든 아이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시와 명령은 곧 강요가 되고 이런 방식의 언어는 엄마가 생각하지도 못한 부작용을 불러일으켜 

나중엔 "나는 내 아이를 위해서 한 일인데.." 라는  원망과 억울함 또 후회가 남을 수도 있겠지요.



#아이가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게 대화를 이끌어가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 소중한 아이가 자기 주도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시키고 싶으시다면 제안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강요가 아니라 왜 그런 활동을 하기를 바라는지 아이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잘 설명하고,
아이가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게 대화를 이끌어가야 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생활을 주도적으로 계획할 수 있다면 아이의 주말과 방학은 무척 알차고 신나고 뿌듯한 시간이 될 것이에요. 

우리 아이의 성격은 어떠하고,
나의 학습 유형 스타일은 어떤 것인지 서로의 성향을 알고 맞춤형 지도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 노력의 순간들은 아이의 삶의 방향이 달라지는 아주 중요한 시간이 되겠죠?! 



소중한 우리 아이의 행복을 바르게 이끌어가는 우리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린이용 MBTI 검사
https://smartstore.naver.com/ilty/products/6103262956


성격유형별 부모양육태도
https://smartstore.naver.com/ilty/products/6076818690

이전 다음 글보기
이전글 정서일기로 나의 마음을 정리해 보아요 (필요하신 분은 다운 받아서 사용하세요.)
다음글 MBTI 해석시 많이 하는 질문들(1)